위키백과(wikipedia.org)로 백링크 생성하기는 영어권에서는 검색엔진최적화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정도처러 받아들여려지는 것인데, 위키백과에 백링크를 걸어보니 문제점이 발견되었습니다. 그것은 위키백과 관리자 들의 편집권 입니다.
22.4.5 기준 ‘한국어 위키백과의 관리자는 총 27명이며, 그 중 18명이 활발히 활동 중이고, 4명이 틈틈이 활동 중입니다.’라고 나오는데 이 분들이 자부심이 강해서 그런지 편집권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상업적 목적의 주제 1개와 비상업적 주제 1개(구글 지식 패널)에 대해 올렸는데, 상업적 목적의 주제는 그렇다 치고 비상업적 주제에 관해서는 국내에서 가장 깊이 있게 연구하여 올린 것을 임의대로 삭제시켰습니다. 27명이 위키백과에서 다루는 그 많은 주제에 편집권을 가진다는 것은 논리적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결과적으로 열심히 지식을 생성 또는 보완하는 일을 하여도 임의적인 편집자권의 잣대를 충족해야 하는데, 그 많은 열정을 위키백과에 쏫아붇는 것은 가성비가 떨어지는 일이라 위키백과로 백링크를 거는 것은 여기서 멈추고 그동안 정리하는 것이 아쉬어 부족한 내용이지만 남겨둡니다.
위키백과 정확히는 위키데이터가 구글 지식그래프의 원천이란 것을 알게 된 이후, 살펴보니, 한국사용자들의 참여가 적어 부족하거나 없는 지식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희의 목적은 위키백과를 통해 고품질 백링크를 얻는 것입니다. 그리고 위키백과의 내용이 구글의 지식그래프로 보여지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고 궁극적으로 지식그래프에 노출시키는 것을 실험해 보고자 합니다.
일관 고품질의 백링크에 관해서는 22.1.20에 위키백과에서 ‘구글 지식 그래프’를 편집하였는데 편집이후 발행과 동시에 백링크가 걸립니다.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의 백링크는 아래의 게시글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는 구글지식그래프(지식카드)의 근원 소스이며 지식그래프의 근간이 됩니다. 위키백과에서 외부링크를 걸어주면 최고의 백링크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게시글의 “2. wikidata.org 와 wikipedia.org 항목을 추가하거나 지식을 추가해주세요.” 부분을 참조하세요.
폅집을 하면 원저작자의 재량에 너무 많은 구속을 받습니다. 가능하면 아래의 새 문서 만들기 마법사 를 참조하시어 새로 글을 올리세요. 이미 다루어진 주제(지식)라면 위키가 알아서 이런 주제의 글을 올려보라고 제시해주는데 차라리 이 제안을 받아들여 새 글(지식)을 내용을 충실히하여 쓰고 백링크를 달아주세요. (자부심과 오만은 구분되어져야 하는데 이것을 헷갈려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예 : 구글 애즈를 위키백과에서 조회해보니 이미 있어서 5가지 광고 유형의 개요를 설명하는 내용을 추가하고 백링크를 걸었습니다. 내용은 구글의 skillshop에 있는 객관적인 내용으로 객관성에는 문제가 없으나 상업용 웹사이트로 링크를 건 것이 잘못되었다고 지적하고자 하는 의미로 처음 글을 게시한 분께서 아래와 같이 메세지를 보내와 삭제하고자 하였으나 내용자체가 올라가지 않아서 삭제할 것도 없었습니다.
구글 애즈 위키백과는 광고를 하는 곳이 아닙니다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 중에 백과다운 내용 에 가이드 라인에 해당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편집 및 새글을 올릴때 참조하세요.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이메일 정도만 있으면 계정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메일은 권장 항목이지만 비밀번호를 분실한 경우 계정 복구에 이메일이 필요합니다. 오늘 계정을 왜 만드셨습니까? 위키백과를 편집해본 적이 있으십니까? 여러분이 읽고 쓰는 다른 언어가 있습니까? 이렇게 3개의 질문에 답을 하고 [완료]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입력한 이메일이 주소가 맞는지 확인하는 메일이 들어오면 [이메일 주소 확인]을 클릭하면 자신의 계정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로그인한 후 자신의 계정=사용자 이름을 선택하면 계정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멘토(파랑색 네모)에게 질문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영향 : 내가 올린 글의 통계(조회수)를 확인할 수 있는 곳입니다. 숫자(분홍색 화살표)를 클릭하면 일별 조회수를 볼 수 있습니다.
https://pageviews.wmcloud.org/ 에서 다른 페이지의 통계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하의 내용들중 초록색은 제가 내용을 추가한 것입니다. 나머지는 위키백과의 내용들입니다.
문서를 처음 만드는 경우, 새 문서 만들기 마법사의 안내에 따라 만드세요. ( 참고 : 글쓰기 연습은 연습장 (공용)에서 할 수 있고, 로그인한 경우 본인 전용 연습장에서 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3개의 선택지가 있는데, 지금 바로 작성하기를 눌러 시작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지금 바로 작성하기 (새로 온 사용자,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일반 문서가 아닌 다른 것도 작성해보기(숙련된 사용자)
맨 아래 쪽에 아래중 하나를 선택해주시고 3단계로 이동해 주세요. 기업 문서를 작성하고 싶습니다. 와 웹사이트에 대해 작성하고 싶습니다. 가 유용할 것으로 보이나 여기서는 ‘그 외 다른 것을 써보려고 합니다.’를 선택하고 다음단계로 넘어가겠습니다.
기업 문서를 작성하고 싶습니다.
저에 대해서 쓰고 싶습니다.
다른 누군가에 대해서 작성하고 싶습니다.
웹사이트에 대해 작성하고 싶습니다.
신조어에 대해 써보고 싶습니다.
음악 그룹이나 아티스트, 앨범 혹은 곡에 대해 작성하고 싶습니다.
그 외 다른 것을 써보려고 합니다.
를 선택하니 아래와 같이 장황하게 나오는데 걱정할 필요없습니다. 예를들면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스템과 같이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면 됩니다.
문서 등재 기준
세계에는 수 많은 기업들이 있지만 이들 중 위키백과가 요구하는 문서 등재 기준에 따라 등재되어 있는 문서는 한정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에 등재하려는 기업은 반드시
어떤 회사의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문서를 작성하려면, 그 상품이나 서비스는 반드시
이해관계의 충돌/광고
생성하려는 문서의 주제가 당신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면 당신은 이해관계의 충돌을 겪고 있는 것이며 중립적이고 바르게 쓰지 못할 것 입니다. 다른 편집자에게 문서가 광고처럼 보이지 않게 쓰긴 아주 어렵다는 걸 알게 될 겁니다.-오랫동안, 위키백과를 광고하는 데 쓰는 것은 공식적인 정책으로 막아왔습니다 이 때문에, 당신의 문서가 광고문처럼 보이거나 위의 문서 등재 기준 지침 개요를 만족하지 못한다면, 즉시 삭제될 가능성이 큽니다. 여기서 가장 좋은 충고는 아무것도 하지 말라는 것이겠죠. 당신의 회사가 유명하면 나중에 누군가 작성할 겁니다. 그 사이에 추가되길 바라는 문서 목록에서 다른 글감을 살펴 볼 수는 있습니다.
를 선택하니 아래와 같이 장황하게 나오는데 이것 또한 객관적인 자료를 찾으면 됩니다.
웹 컨텐츠 중 아주 일부만이 위키백과에 실릴 수 있습니다. 웹툰, 팟캐스트, 블로그, 포럼, 온라진 잡지, 웹진 등 경우에 따라 웹 콘텐츠도 위키백과에 등재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라인의 목적에 따라, 오로지 인터넷에서 유포되는 모든 컨텐츠는 웹 컨턴츠로 여겨집니다.
위키백과에 등재하려면, 웹 사이트는 아래의 기준을 적어도 하나 이상은 반드시 만족해야 합니다.
이해관계
당신이 해당 웹사이트의 이해관계에 얽혀있을 경우 다른 사람들과 이해관계가 충돌하거나 백과사전의 한 문서로서 중립적으로 작성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당신이 작성한 내용이 다른 편집자들이 보기에 광고에 가깝거나, 혹은 위키백과의 광고 지침에 어긋나는 부분이 있으면 대체로 삭제됩니다.
이 문서에는 분류가 달려 있지 않습니다. 적절한 분류를 다신 후 이 틀을 제거해주세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이 도움말은 한국어 위키백과의 사용서입니다. 이 문서는 위키백과를 사용하는 과정이나 절차에 대해 안내합니다. 위키백과의 정책과 지침은 아니며, 공동체의 총의와 검토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습니다. |
위키백과 문서 편집 길라잡이
위키백과는 누구나 보호되지 않은 문서를 편집하고 모든 독자를 위해 즉시 문서를 개선할 수 있는 위키입니다. 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할 필요가 없습니다. 문서를 편집한 사람은 누구나 “위키백과 사용자“로 알려져있으며 편집이 아무리 사소해 보일지라도, 위키백과에 도움이 되었음을 자랑스럽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수정 사항이 추가됩니다! 위키백과는 새 시각편집기와 위키 문법을 통한 고전적인 편집의 2가지 편집 방법을 사용합니다.
일부 문서는 보호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문서는 “편집”탭 대신 “원본 보기” 탭이 표시됩니다.
우측 상단위에 [읽기] 우측에 [원본 보기]가 표시되면 보호된 문서입니다. 보호되지 않은 편집이 가능한 문서는 [편집]이라고 표시됩니다.
편집 요청을 제출하여 이러한 문서를 간접적으로 편집할 수 있습니다. 보호된 문서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기가 요청에 응답합니다. 해당 문서의 “원본 보기” 탭을 클릭하고, 오른쪽 하단의 “편집 요청 제출”링크를 사용하여 요청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어려운 문법을 사용하는 고전적 편집기보다는 시가편집기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시각편집기는 편집 중인 본문이 마치 이미 게시된 것처럼 표시합니다.
문서를 새로 만든 것보다는 다른 사람의 문서를 편집(보강)하면서 기능을 익히는 것이 사용법을 익히는데 도움이 됩니다.
대부분의 위키백과 문서를 편집하는 것은 아주 간단합니다. 위키백과는 위키 문법을 통한 고전적 편집과 새 시각편집기를 통한 편집 등 2가지 편집 방법을 사용합니다.
전통적 위키문법 사용 방법 안내
시각 편집기 사용 방법 안내
위키 문법 편집은 위키백과 문서 상단의 편집 탭 (또는 문단 편집 링크)을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그러면 현재 문서의 편집 가능한 내용이 포함된 새 문서로 이동합니다. 위키 문법은 하이퍼링크, 표 및 함수, 각주, 인용 부호, 특수 문자 등을 위키백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합니다. 시각편집기(Visual Editor, 네이버 블러그 에디터같은 편집기)퍈로의 전환
시각편집기 설정은 사용자 친화적인 “위지위그” 편집 방식을 사용하여, 위키 문법 마크업을 배울 필요없이 문서를 편집할 수 있게 해줍니다. 편집창의 상단 오른쪽 연필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면 나타는 펼침 메뉴에서 시각 편집을 클릭하면 시각편집기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메뉴얼은 시각편집기 사용자 안내서를 참조하세요.
위키백과 공동체에서는 문서 및 사실을 표준화된 양식으로 표시하고, 위키백과를 전체적으로 사용하기 쉬운 편집 지침을 개발했습니다. 위키 문법의 기본 목록은 위키문법 요약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편집 도구 모음“은 편집 상자 (아래 그림) 바로 위에 제공되며, 로그인한 사용자가 (개인 환경 설정에서 설정을 선택하여) 위키 코드의 다양한 측면을 자동으로 배치하고 형식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위키백과:위키 문법을 참조하세요. 많은 프로토콜이 있지만 위키백과가 진행 중인 작업이므로, 완벽할 필요는 없습니다.
위키백과:출처 밝히기입니다.
일반적으로 출처는 그것이 뒷받침하는 사실을 설명하는 문장의 끝이나 그 문장의 부호 뒤에서 그 삽입됩니다. 위키백과는 편집자가 독자가 그 정보가 어디서 왔는지 파악할 수 있다면 어떤 형식으로도 출처를 제시할 수 있도록 허용하지만, 각주로 출처를 제시할 것을 강력하게 권고합니다. 각주는 주로 참고 문헌 사이에 <ref> … </ref> 태그를 삽입하며 나타냅니다. 각주 목록은 {{Reflist}} 틀이나 <references /> 태그가 삽입된 곳에 나타나며, 주로 “각주”라고 명명된 항목에 넣습니다.
위키백과:토론 문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모든 문서에는 딸린 토론 문서가 있으며, “토론” 탭(2번)을 클릭하여 토론 문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토론 문서에서 문서 향상에 대하여 논의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기여가 누군가에 의해 되돌려졌다면 토론 문서에서 토론을 시작해 주십시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집창 아래에 표시되며 다양한 문자 및 기호 삽입을 허용하는 도구 모음에 관해서는 위키백과:차트 삽입하기 문서를 보십시오.
![]() |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의 정보문입니다. 이 문서는 정책과 지침은 아니지만, 위키백과의 규범과 관습 측면에서 공동체의 확립된 관행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공동체의 총의나 검토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습니다. |
호환되는 브라우저에서 편집 도구 모음은 환경 설정에서 설정한 경우, 자동으로 편집 상자와 함께 표시될수 있습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편집자는 자동으로 나타납니다. 이 기능은 부분적으로 타이핑 보조도구로 부분적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작동합니다. 모든 기능은 편집 상자 (예:[[링크]])에 직접 코드를 입력하여 사용할수 있습니다.
편집 도구 모음은 환경 설정에서 개인 환경 설정에 따라 모양이 다릅니다:
⧼위키편집기-도구 모음-환경 설정⧽ | ⧼위키편집기-도구 모음-대화 상자-환경 설정⧽ | 도구 모음 |
---|---|---|
끄기 | 끄기 켜기 | 표준 도구 모음 |
켜기 | 끄기 | 고급 편집 도구 모음 |
켜기 | 마법사가 포함된 고급 편집 도구 모음 |
도구 모음이 다음과 같이 보이는 경우:
서식이 있는 본문 시각편집기를 사용하게 됩니다.
CITE(인용)을 선택하고 사이트 URL을 넣으면 제목, 언어등을 가져와 [1], [2]처럼 번호도 부여하고 맨아래에 각주 난에 자동으로 생성해 줍니다.
1:01CC위키백과 시각편집기 알파 버전을 설명하는 비디오
시각편집기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영어 위키백과에서 처음으로 선보였습니다. 2013년 4월 14개 언어가 지원되었으며, 2013년 6월 다른 대부분의 언어의 지원을 시작했습니다. 2015년 4월 기준으로 모든 위키백과 언어 중 약 76%의 사용자에게 기본값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자신의 ” 환경 설정“[1] 화면으로 이동하여 “베타 기간 동안 시각편집기를 일시적으로 비활성화”에 체크를 없애면 이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또 해당 체크 상자 바로 아래의 편집 모드에서 “양 쪽 편집 탭 보이기”가 설정된 상태라면 편집할 수 있는 각 항목에서 “원본 편집” 탭 옆에 또 하나의 “편집” 탭을 볼 것입니다. 이 편집 탭을 클릭하면 잠시 멈춘 후에 시각편집기가 나타날 것입니다. 여기서 실제 항목을 시험해보고 편집하고 저장하며 시각편집기의 최종 모습이 어떠할지 알아 볼 수 있습니다.
시각편집기 개발 초기 단계에서 개발팀은 어떤 편집이라도 저장한 후에 잘못된 것이 없는지 확인할 것을 권합니다. 모든 시각편집기를 사용한 편집은 문서의 역사에 “시각편집기” 태그가 옆에 붙기 때문에 차후에 상황을 지켜볼 수 있습니다.
유념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각편집기를 사용하려면 환경설정에서 지정하는 스킨이 모노북이나 벡터이고 자바스크립트와 최신 웹 브라우저가 필요합니다. 또, 일부 환경에서는 시각편집기에서 한글을 정상적으로 입력하지 못할 수 있으며, 파이어폭스에서는 정상적으로 입력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아이콘 | 기능 | 편집할때 표시되는 내용 | 문서에 표시되는 내용 |
---|---|---|---|
![]() | |||
![]() | 볼드체 | '''볼드체''' | 볼드체 |
![]() | 이탤릭체 | ''이탤릭체'' | 이탤릭체 |
![]() | 외부 링크 | [http://www.example.com 링크 제목] | 링크 제목 |
![]() | 내부 링크 | [[링크 제목]] | 링크 제목 |
![]() | 그림 삽입 | [[파일:Example.jpg|섬네일]] | |
![]() | 각주 삽입 | <ref>각주 본문을 여기에 삽입하세요</ref> | [1] |
![]() | 위키텍스트에서 강조 표시 활성화 | ![]() | ![]() 관련된 글이 있습니다.위키텍스트 편집기 구문 강조 ![]() |
![]() | 토론 서명 (타임 스탬프 포함) | --~~~~ | 사용자 (토론) 05:58, 20 1월 2022 (UTC) |
![]() | 인용문 삽입 | 아래 참조. | |
![]() | 고급 | 아래 참조. | |
![]() | 특수 문자 | 아래 참조. | |
![]() | 도움말 | 아래 참조. | |
![]() ![]() | 위키편집기를 시각편집기로 변경하기 |
아이콘 | 기능 | 편집할때 표시되는 내용 | 문서에 표시되는 내용 |
---|---|---|---|
![]() | |||
![]() | 볼드체 | '''볼드체''' | 볼드체 |
![]() | 이탤릭체 | ''이탤릭체'' | 이탤릭체 |
![]() | 토론 서명 (타임 스탬프 포함) | --~~~~ | 사용자 (토론) 05:58, 20 1월 2022 (UTC) |
![]() | 내부 링크 | [[링크 제목]] | 링크 제목 |
![]() | 그림 삽입 | ||
![]() | {{각주}} 삽입 | ||
![]() | 고급 | 아래를 참조하세요. | |
![]() | 특수 문자 | 아래를 참조하세요. | |
![]() | 도움말 | 아래를 참조하세요. | |
![]() | 인용 도구 모음 | 위키백과:도구/Ref툴바/2.0를 참조하세요. |
사진/그림(Images), 소리(Sounds), 동영상(Videos) 을 위키미디어 공용(Wikimedia Commons)에 자신의 창작물이 아니고 타인의 창작물임을 선택하고 url을 올려주면 백링크를 쉽게 걸 수 있습니다.
아래의 동영상은 위키백과, 위키책, 위키뉴스 등의 다른 모든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 게시되어 95개의 사이트에 노출되며 백링크가 걸린다는 의미인지, 위키백과, 위키책, 위키뉴스 등의 다른 모든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외에 다른 웹사이트도 포함하여 95개의 웹사이트에 게시되며 백링크가 걸린다는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최초 upload를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해주어야 합니다. 위키백과(wikipedia)에 계정이 있다면 동일 계정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동영상에서 언급하는 것처럼 남용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고 upload된 동영상은 업로드한 사람이 삭제할 수 없고 운영진을 통해서만 삭제할 수 있어 삭제가 어려우므로 저작권에 걸리는 사진/그림(Images), 소리(Sounds), 동영상(Videos)은 업로드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위키미디어 공용(Wikimedia Commons)은 자유 콘텐츠인 그림, 소리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의 저장소이며, 위키미디어 재단의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공용에 올라온 미디어 파일은 위키백과, 위키책, 위키뉴스 등의 다른 모든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함께 이용할 수 있다.
How To Get Wikipedia backlink SEO Tutorial(4:58)
How useful was this post/page?
Praise breeds willingness! Thank you for taking a second to rate us.
Average rating 5 / 5. Vote count: 1
No votes so far! Be the first to rate this post.
귀하의 네트워크는 offline상태입니다. offline인 경우에도 저희 app은 사용 가능합니다.
1 Comment
Лично мне сориентировала Данная информация познать весь мир основательнее.